본문 바로가기
기타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3-1 컴퓨터의 구성 요소

by 긴소리 2022. 9. 1.
728x90
반응형

✅ 중앙처리장치,CPU

컴퓨터에 주어진 일을 해내는 주체, 컴퓨터에서 이뤄지는 모든 일을 관할함.

 

CPU의 성능 지표

▶ 코어 개수, 클럭, 스레드 개수

 

1️⃣코어, CPU의 가장 핵심이 되는 부품

과거에는 한개의 코어를 가지고 속도를 높여가는 방식으로 사용했지만 발열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여러 개의 코어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변경해 사용하고 있음

코어 앞에 오는 숫자나 수식어가 코어의 수를 의미함.

 

2️⃣스레드, 하나의 코어로 두 개의 코어의 효율을 내는 거

2코어 4스레드 사양의 CPU > 4코어가 설치되어 있다고 인식함

 

3️⃣클럭, 코어의 속도

GHz (기가헤르츠) 단위로 표시, 숫자가 클수록 빠름

 

메모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

주기억장치(메인 메모리, 램, 휘발성) 

보조기억장치(비휘발성, 용량이 크면 파일, 프로그램을 많이 저장할 수 있음)

기억 장치 속도 : 캐시 >메인 메모리 >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하드웨어 구성요소 중 하나 (I/O)

컴퓨터와 외부를 연결해주는 소통의 통로

 

⏩ 입력 장치(마우스, 키보드)로 입력받은 명령 > CPU 접수 후 처리 > 보조기억장치에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준비 > 메인 메모리에서 작업 > 완료된 작업물을 출력장치(모니커, 스피커, 프린터)로 내보냄

 

 프로그램이 메인 메모리로 올라와 실행되고 있는 상태, 프로세스

병렬 처리 > 여러 작업을 동시에 실행 

병행 처리 > 하나의코어가 여러 프로세스를 돌아가며 조금씩 처리하는 것

 

 한 프로세스 안에 하나 이상 진행될 수 잇는 일의 단위, 스레드

여러개의 스레드가 함께 진행되는 것, 멀티 스레딩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 > 메인 메모리를 어떻게 함께 사용하는가❓

 

🧡 프로세스

멀티 프로세싱에서 각각의 프로세스는 자기 영역을 명시해 둠,

동시에 진행되는 프로세스가 많아지면 메인 메모리는 그 배수만큼 필요.

 

🧡 스레드

서로의 영역을 구분하지않음

해당 프로세스에 속한 모든 스레드가 공유함

성능상 스레드가 유리하지만 같은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비해야 함 

 

🔅 해당 게시글은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을 읽고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 구매처 링크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sly.hst&fbm=1&acr=1&acq=%ED%98%BC%EC%9E%90+%EA%B3%B5%EB%B6%80&qdt=0&ie=utf8&query=%ED%98%BC%EC%9E%90+%EA%B3%B5%EB%B6%80%ED%95%98%EB%8A%94+%EC%96%84%ED%8C%8D%ED%95%9C+%EC%BD%94%EB%94%A9+%EC%A7%80%EC%8B%9D

반응형

댓글